아나필락시스 개요
- 알레르기 정의: 알레르기는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항원(원인 물질)에 대한 면역 매개형 과민반응이다.
- 알레르기 질환 분류:
- 비염: 알레르기 염증이 코 속에 나타날 때.
- 천식: 기관지에 알레르기 염증이 나타날 때.
- 아토피 피부염 및 두드러기: 피부에 알레르기 염증이 나타날 때.
- 감작 과정: 대부분의 사람에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원인 물질에 대해 감작이란 과정을 통해 쉽게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이 있다.
- 알레르기 반응 발생: 감작을 통해 혈액 속에 E면역글로불린(IgE) 항체가 만들어지고, 면역세포와 알레르기 염증세포들이 활성화된다. 이후 같은 원인 물질에 다시 접촉하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다.
아나필락시스 정의 및 증상
- 정의: 아나필락시스는 원인 물질에 노출된 후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심한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다.
- 증상:
- 피부 발진: 가려움증과 함께 피부 발진이 생김.
- 부종: 목안과 혀가 부풀어 오름.
- 호흡기 증상: 숨가쁨, 쌕쌕거림, 기침, 기도수축, 저산소증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심혈관 증상: 혈압 저하, 현기증, 실신 등이 동반될 수 있음.
- 응급 조치 필요성: 증상이 빠르게 진행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아나필락시스 원인
- 원인 다양성: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지역, 연령, 계절에 따라 다르다.
- 소아 청소년의 주요 원인:
- 식품: 계란, 우유, 호두, 밀가루가 주요 원인이다.
- 성인의 주요 원인:
- 약물: 아스피린을 포함한 소염진통제, 항생제, 조영제, 항암제 등이 있다.
- 식품: 새우와 해산물, 밀가루가 흔한 원인이다.
- 기타 원인: 드물지만 운동이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감염, 스트레스 등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 병태생리
- 기전 다양성: 아나필락시스는 증상이 같아도 사람에 따라 또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면역학적 기전:
- IgE 매개형 기전: 알레르기 유발 원인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E면역글로불린(IgE)에 의한 기전.
- 비IgE 매개형 기전: G면역글로불린, 보체 등 다른 면역 체계에 의해 발생.
- 원인 물질: IgE 매개형 아나필락시스는 주로 단백질이 원인 물질로 작용하며, 비IgE 매개형은 조영제, 진통소염제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 진단 및 검사
- 진단 방법: 아나필락시스는 증상으로 진단한다.
- 증상 확인:
- 노출 후 증상: 몇 분에서 몇 시간 내에 피부, 점막 증상과 호흡기, 심혈관, 소화기 증상이 동반될 때 의심.
- 저혈압 및 기도수축: 알고 있던 원인에 노출된 후 피부 증상 없이 저혈압, 기도수축이 나타날 때.
아나필락시스 진단기준
- 병력 조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섭취한 식품, 약물, 곤충에 쏘인 여부를 확인한다.
- 검사 방법: 혈액을 채취해 특정 원인에 대한 알레르기 항체(IgE)를 측정하거나 피부반응검사를 통해 원인 물질을 확인한다.
아나필락시스 관련 질환
- 다른 질환의 영향: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및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이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
- 약물의 영향: 혈압약, 소염진통제, 안정제, 수면제, 우울증약 등의 약물 복용 시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보조 요인: 운동, 감기, 발열, 급성 감염, 스트레스, 여행, 생리 주기 등이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식품 의존성 운동 유발성 아나필락시스: 밀가루에 알레르기 반응이 없는 사람이 밀가루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면 발생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 치료 방법
- 응급처치의 중요성: 아나필락시스를 빨리 알아차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1단계 응급처치:
- 가능한 원인을 제거하거나 중단한다.
-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히고 의식, 맥박, 호흡을 확인한다.
- 119에 연락하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다.
- 에피네프린을 허벅지에 근육주사한다.
- 다리를 올려서 심장과 뇌의 혈액 순환을 유지한다.
- 후기 반응 관찰: 응급처치 후 6~12시간 이내에 후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예방 및 자가 관리
- 원인 회피의 중요성: 원인이 확인된 경우 회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식사 및 조리 시 주의: 급식표를 확인하고, 식당에서 주재료와 부재료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 약물 사용 시 주의: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하는 약물과 유사한 구조나 작용을 가진 약물에 대해 조심해야 한다.
- 자가 관리 방법:
- 식사 후, 운동 후, 약물 복용 후 아나필락시스 발생 가능성을 인지한다.
- 식품 라벨을 확인하고 성분이 불분명한 식품과 약물은 피한다.
- 여행 전 전문의와 상담하고 자가주사용 에피네프린을 준비한다.
병원 방문 필요성
- 생명 위협 가능성: 아나필락시스는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다.
- 후기 반응 관찰: 급성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후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24시간 관찰이 필요하다.
- 재발 위험: 같은 원인에 다시 노출될 경우 더 빨리, 더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응급처치 교육 필요성: 응급처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장광천, 장윤석, 최선화, 송우정, 이수영, 박해삼, …, 안영민 (2013). 한국 아나필락시스의 진료. Allergy Asthma Respir Dis. 1(3). 181-96.
2. Muraro, A., Worm, M., Alviani, C., Cardona, V., DunnGalvin, A., Garvey, L. H., …, & Roberts, G. (2021 update). EAACI guidelines. Anaphylaxis. Allergy. 77(3). 357-37.
3. Jeong, K., Ye, Y. M., Kim, S. H., Kim, K. W., Kim, J. H., Kwon, J. W., …, Lee, S. Y. (2020). A multicenter anaphylaxis registry in Korea: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cute treatment details from infants to older adults. World Allergy Organ J. 13(8). 100449.
4. Cardona, V., Ansotegui, I. J., Ebisawa, M., El-Gamal, Y., Fernandez-Rivas, M., Fineman, S., …, & Worm, M. (2020). World Allergy Organization Anaphylaxis Guidance 2020. World Allergy Organ J. 13(10). 100472.
출처:
'의학상식_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의 정의와 기본 개념 (0) | 2025.03.01 |
---|---|
청소년의 제로 음료 섭취 (1) | 2025.02.28 |
달리기와 무릎 부상의 (0) | 2025.02.27 |
비알코올 지방간이란? (0) | 2024.05.23 |
건강하게 염분 섭취 하는 방법! 알려드겠습니다!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