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직업성 천식은 작업환경에서 특정 물질에 노출되어 새롭게 생기거나 나빠지는 천식입니다.
- 일하는 중에 호흡 곤란, 기침 등이 발생하고, 퇴근 후나 휴일에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 직업성 천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직업성 천식이 의심이 될 때는 원인 물질에 대한 노출을 중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개요-정의
직업성 천식은 작업 환경에 있는 특정 물질(알레르기 유발 물질이나 자극 물질)에 의해 증상이 생기거나 악화되는 천식입니다. 이는 새롭게 천식이 발병할 수 있는 원인이 되며, 기존 천식 환자의 증상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개요-종류
직업성 천식은 감작제 유발 직업성 천식(sensitizer-induced occupational asthma)과 자극제 유발 직업성 천식(irritant-induced occupational asthma) 등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감작제 유발 직업성 천식은 특정 물질(감작제)에 장기간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 발생합니다. 천식 증상은 보통 수주에서 수년 후에 나타나며, 감작제에 다시 노출되면 증상이 악화됩니다. 주로 이소시아네이트, 라텍스, 밀가루, 동물 털, 금속 등이 원인입니다.
자극제 유발 직업성 천식은 높은 농도의 자극제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기도가 손상됩니다. 이 경우 면역 반응이 아닌 자극제의 독성 때문에 천식 증상이 즉시 나타나며, 강한 노출이나 짧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발생합니다. 증상은 노출 후 몇 시간 이내에 나타납니다. 주로 암모니아, 염소, 연기, 세정제의 증기 등이 원인입니다.
개요-원인
약 400개 이상의 원인물질이 직업성 천식을 유발하며, 그 수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원인 물질은 고분자량 물질(식물성 또는 동물성 단백질 등)과 저분자량 물질(화학물질, 금속, 목재 분진 등)로 분류합니다. 아토피 또는 비염의 과거력, 흡연, 유전적 요인 등 개인적인 위험요인도 직업성 천식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국내에서 직업성 천식의 원인으로 알려진 물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알려진 천식유발 물질 및 관련 직업
개요-경과 및 예후
직업성 천식은 원인물질 노출을 중단하면 증상이 완화되거나 호전되지만, 이미 유발된 경우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노출이 반복되면 증상이 악화될 뿐 아니라 폐기능이 영구적으로 나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개요-병태생리
감작제 유발 직업성 천식에서는 고분자량 물질과 일부 저분자량 물질이 IgE 항체를 통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분자량 물질은 신체의 알부민이나 헤모글로빈에 결합해 비만세포, 호염구, 대식세포 등을 통해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저분자량 물질의면역 반응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자극제 유발 직업성 천식에서는 고농도의 자극물이 기도 상피에 손상을 주어 염증 및 폐의 투과성 증가, 신경 손상, 기도 재구성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학 및 통계
전 세계 성인 인구에서 천식의 유병률은 약 6.6%이며, 국내에서는 3.2%~4.7%로 추정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근로 연령의 성인 천식 환자 중 최대 25%는 직업적 노출이 원인이라고 추정합니다. 직업이 천식에 미치는 기여도는 약 10%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직업성 천식의 증상은 쌕쌕거림, 숨가쁨, 가슴 답답함, 기침, 가래 등 일반적인 천식 증상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직장에서 증상이 악화되고, 퇴근 후나 주말에는 증상이 좋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직업성 천식을 진단할 때는 직업, 노출력, 취미생활 등을 철저히 조사 해야 합니다. 또한, 주말이나 휴일 등 직장에 나가지 않는 날에 증상이 호전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직업성 천식은 우선 천식으로 진단된 후 다음 세 가지 방법을 통해 확진합니다.
1) 의심되는 원인물질을 이용해 기관지 민감성을 유발하고 폐기능이 떨어지는지 평가합니다.
2) 작업 중 호기 시 공기가 나오는 최대 속도를 측정해 작업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합니다.
3) 작업을 하지 않았을 때와 작업 중에 천식 진단 검사를 수행해 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면 직업성 천식으로 진단합니다.
이러한 확진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작업 중에는 호흡 곤란, 기침 등이 발생하고, 퇴근 후나 공휴일에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 직업성 천식을 의심해야 합니다. 천식을 진단할 때는 최대호기유속 측정계를 이용해 연속 측정한 최대호기유속이 유용합니다.
치료
직업성 천식의 치료는 일반 천식과 비슷합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와 염증 완화 치료를 시행합니다. 그러나 직업성 천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천식 유발 물질 노출을 중단하는 것입니다. 이를 "회피"라고 합니다. 천식 유발 물질 회피는 직업성 천식의 근본적인 치료법입니다. 회피가 지연될수록 치료 효과가 감소하고 예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오랜 기간 증상이 있었던 환자는 원인물질 노출을 몇 년간 중단해도 직업성 천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원인물질에 계속 노출되면 증상이 심해져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노출을 중단해도 완치 가능성이 낮고 영구적인 폐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자가 관리
작업장에서 원인물질에 노출되면 증상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원인물질과의 관련성이 명확히 확인되기 전까지는 노출을 피해야 합니다. 특정 물질이 원인으로 밝혀지면, 동일 작업장 재근무를 제한하고, 철저한 보호 장구 착용, 작업장 환기 개선, 작업 공정 조정 등을 통해 노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해당 작업을 중단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합병증
직업성 천식이 적절히 치료되거나 관리되지 않으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폐기능 감소 - 지속적인 원인물질 노출이나 반복적인 천식 발작으로 인해 폐기능이 서서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천식 증상이 심해지고 숨쉬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만성 폐쇄성 폐질환 - 직업성 천식을 장기간 방치하면 폐기능이 점차 나빠져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기도가 좁아지고 만성적인 염증이 반복되어 호흡 곤란과 기침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 천식 환자는 호흡기가 약해져 감기나 폐렴 같은 감염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도가 염증으로 인해 약해지면 외부 자극에 더 민감해져 감염이 생기기 쉬워집니다.
4) 천식 발작 - 천식이 잘 관리되지 않으면 발작이 일어나 갑작스럽게 숨쉬기 어려워지는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발작은 기도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위험요인 및 예방
이론적으로 거의 모든 물질이 천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직업성 천식을 완전히 예방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천식을 유발하는 물질에 노출되는 근로자는 정기적으로 증상을 조사해 초기에 원인 물질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 방법입니다. 또한 사업장에 새로운 감작 물질의 도입을 피하고, 감작 물질의 대체제를 사용하거나,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형태를 바꿔 감작 잠재력을 줄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관리
직업성 천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철저한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첫째, 흡연은 직업성 천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이 필수적입니다. 흡연은 기도의 염증을 증가시키고 폐 기능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흡연을 피하고 흡연자와의 접촉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규칙적인 운동은 폐기능을 향상시키고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상태에 맞는 운동을 선택하고, 운동 중 천식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공기 질이 좋지 않거나 기도 자극원이 많은 곳에서 운동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자주하는 질문
Q. 천식에 유전적인 요인이 있나요?
A.
천식은 유전적인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나 형제자매가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천식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유전자에 다형성(polymorphism)이 있는 경우에도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21). 한국 천식진료지침.
2. Rhee, C. K., Moon, J. Y., Joo, H., Jung, J. Y., Lee, J. K., Min, K. H., Koo, H. K., Lim, S. Y., Yoon, H. K., & Lee, S. Y. (2023). Summary of Korean Asthma Guidelin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86(3), 158–165.
3. Cormier, M., & Lemière, C. (2020). Occupational asthm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Union against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24(1), 8–21.
4. Global Asthma Network. (2022). The Global Asthma Report.
5. GBD 2016 Occupational Chronic Respiratory Risk Factors Collaborators, & GBD 2016 Occupational Chronic Respiratory Risk Factors Collaborators. (2020).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Chronic Respiratory Disease in 2016 Arising from Non-Infectious Airborne Occupational Exposures: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77(3), 142–150.
6. Tiotiu, A. I., Novakova, S., Labor, M., Emelyanov, A., Mihaicuta, S., Novakova, P., & Nedeva, D. (2020). Progress in Occupational Asthm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2), 4553.
7. Vandenplas, O., Godet, J., Hurdubaea, L., Rifflart, C., Suojalehto, H., Wiszniewska, M., Munoz, X., Sastre, J., Klusackova, P., Moore, V., Merget, R., Talini, D., Svanes, C., Mason, P., dell'Omo, M., Cullinan, P., Moscato, G., Quirce, S., Hoyle, J., Sherson, D. L., ... European Network for the Phenotyping of Occupational Asthma (E-PHOCAS) Investigators. (2019). Are High- and Low-Molecular-Weight Sensitizing Agents Associated with Different Clinical Phenotypes of Occupational Asthma?. Allergy, 74(2), 261–272.
'의학상식_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질 검사 (0) | 2025.05.20 |
---|---|
암생존자통합지지사업 (0) | 2025.05.19 |
대장암 환자의 식생활 (0) | 2025.05.16 |
치핵의 종류와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0) | 2025.05.09 |
여드름의 정의와 발생 원인 그리고 치료법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