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생활백서 - 기구관리 - 중심정맥관 - 케모포트

728x90

케모포트는

정맥(혈관)을 통해 심장 가까이의 굵은 혈관까지 삽입되는 관(카테터)의 일종으로, 동전만한 크기의 원통형 기구를 피부 밑에 이식해서 여기에 혈관으로 통하는 주사관이 연결됩니다. 몸 밖으로 나와 있는 부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감이 없습니다. 또한 한 번 삽입된 후 그 기능이 잘 유지되면 매번 팔의 혈관을 찌르는 불편을 덜어주어 항암치료 등 반복해서 정맥주사가 필요한 환자의 치료에 유용합니다.

etc-image-0
중심정맥관 _ 케모포트

 

 

케모포트는 어떻게 넣나요?

시술은 주로 영상의학과의 혈관조영실에서 국소마취 하에 시행되며, 시간은 대개 20분 정도 걸립니다. 시술 전 6시간 정도의 금식이 필요하며, 시술 후 4시간 정도 침상안정을 하고 시술 부위의 출혈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술 후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시술 후 정기적으로 소독을 하고 거즈나 투명테이프(테가덤)를 붙입니다. 시술 부위에 물이 닿지 않게 하시며, 가벼운 샤워는 가능합니다. 시술 후 약 2주째 실밥을 제거한 후에는 샤워는 물론 통목욕도 가능합니다.

etc-image-1
중심정맥관 _ 케모포트

 

케모포트는 언제 제거하나요?

치료가 끝났을 때, 포트에 이상이 생겼을 때 담당 의사의 결정이 있으면 혈관조영실에서 포트를 제거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담당의사와 상의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 ⓵ 삽입부위가 빨갛게 붓거나, 아프거나, 냄새가 나거나 분비물이 있을 때
  • ⓶ 체온이 38도 이상이 넘을 때
  • ⓷ 삽입부위나 삽입한 쪽의 어깨, 팔이 계속 저리거나 아픈 경우
  • ⓸ 삽입한 쪽의 어깨, 팔, 또는 얼굴이 붓는 경우
  • ⓹ 중심정맥관이 막혔다고 의심되는 경우(혈액 역류가 안 되거나 헤파린 주입 시 심하게 저항이 느껴지는 경우 또는 주입이 안 되는 경우, 이 경우 무리하게 힘을 가하면 카테터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항암제 스케줄이 없는 포트 삽입환자

정기적인 항암제 스케줄이 종료되었더라도 포트를 제거하지 않고 갖고 계신다면 포트가 막히지 않도록 한 달에 한 번씩 헤파린용액(항응고제)의 주입이 필요합니다. 헤파린용액 주입은 외래주사실에서 합니다.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2025.03.25 - [의학상식_정보] - 중심정맥관 관리의 모든 것

반응형

'의학상식_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크만 카테터  (0) 2025.03.25
케모포트란 무엇인가?  (0) 2025.03.25
중심정맥관 관리의 모든 것  (0) 2025.03.25
암환자 생활백서 - 기구관리- 중심정맥관 관리  (0) 2025.03.25
평발이란?  (0) 2025.03.25